신기허(腎氣虛) 신(腎)의 원기(元氣)가 허쇠(虛衰)하여 신(腎)기능이 감퇴되어 나타나는 증한상(寒象)이나 열상(熱象)이 뚜렷하지 않고, 신(腎)의 증상인 요슬산연(腰膝酸軟), 이명(耳鳴) 등과 기허(氣虛) 증상이 요점. 신불납기(腎不納氣)나 신기불고(腎氣不固)의 기본적인 병기가 되지만, 이들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기단(氣短), 천식(喘息), 소변빈삭(小便頻數), 유뇨(遺尿)를 주증상으로 하지 않음.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용인 신기허(腎氣虛) 관련 글 모아보기 공부글한씨 공부노트 유증감별한씨 공부노트[유증감별] 신기허증과 신양허증(腎氣虛證/腎陽虛證) [유증감별] 신기허증과 신불납기증, 신기불고증(腎氣虛證/腎不納氣證/腎氣不固證) [유증감별] 신음양양허증과 신..
신기불고(腎氣不固) 신기허쇠(腎氣虛衰)하여 봉장고섭(封藏固攝)의 기능을 잃은 증 소변빈삭(小便頻數), 유뇨(遺尿), 실금(失禁), 활정(滑精)과 같은 방광실약(膀胱失約) 또는 정관(精關)이 견고(堅固)하지 못한 증상이 있고 여기에 신허(腎虛)의 일반적인 증상이 나타남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용인 신기불고(腎氣不固) 관련 글 모아보기 공부글한씨 공부노트 유증감별한씨 공부노트[유증감별] 신기허증과 신불납기증, 신기불고증(腎氣虛證/腎不納氣證/腎氣不固證) [유증감별] 신기불고증과 신불납기증(腎氣不固證/腎不納氣證) [유증감별] 신기불고증과 방광허한증(腎氣不固證/膀胱虛寒證)
신불납기(腎不納氣) 신허(腎虛)로 기(氣)가 귀원(歸元)되지 못하여 납기(納氣)기능이 상실된 증 원기(元氣)가 부족하여 폐신(肺腎)의 기능이 감퇴하는 것이 본증의 기초인데, 기단(氣短), 천식(喘息) 등의 주증상과 신허(腎虛)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요점.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용인 신불납기(腎不納氣) 관련 글 모아보기 공부글한씨 공부노트 유증감별한씨 공부노트[유증감별] 심기허증과 신불납기증(心氣虛證/腎不納氣證) [유증감별] 폐기허증과 신불납기증(肺氣虛證/腎不納氣證) [유증감별] 폐기쇠절증과 신불납기증(肺氣衰絶證/腎不納氣證) [유증감별] 신기허증과 신불납기증, 신기불고증(腎氣虛證/腎不納氣證/腎氣不固證) [유증감별] 신기불고증과 신불납기증(腎氣不固證/腎不納氣證)..
신양허(腎陽虛) 원양(元陽)이 부족하여 기화(氣化)작용을 상실함으로서 온후(溫煦)가 안되고 수습(水濕)이 증가되는 증신(腎)의 기능 저하가 있되 반드시 외한지랭(畏寒肢冷), 요슬냉통(腰膝冷痛), 오변설사(五更泄瀉), 소변청장(小便淸長)과 같은 한상(寒象)을 겸함.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용인 신양허(腎陽虛) 관련 글 모아보기 공부글한씨 공부노트 유증감별한씨 공부노트[유증감별] 신기허증과 신양허(腎氣虛證/腎陽虛證) [유증감별] 신허수범증과 신양허증(腎虛水泛證/腎陽虛證) [유증감별] 신음양양허증과 신양허증, 신음허증, 신기허증(腎陰陽兩虛證/腎陽虛證/腎陰虛證/腎氣虛證)
신정부족(腎精不足) 신정(腎精)이 부족하여 발육이 부진하거나 생식기능이 감퇴하고 골격이 충실하지 못하게 되는 증 생장발육과 생식기능의 감퇴가 특징이며 명확한 쇠상(衰象)이나 열상(熱象)은 없음.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2017). 한의병리학. 한의문화사 : 용인 신정부족(腎精不足) 관련 글 모아보기 공부글한씨 공부노트 유증감별한씨 공부노트[유증감별] 신정부족증과 신음허증(腎精不足證/腎陰虛證)